그린미디어

Green Media

  • 친절하게 그러나 정확하게 황나경

    친절하게 그러나 정확하게 황나경

    조회수 : 13919

    어린이를 위한 동물 그림책은 이미 많지만 그림과 함께 과학적 지식을 친절하게 전달하는 책은 드물었다. 새로 등장한 창비청소년문고의 13번째 책 <동물뉴스>는 동물과학의 최신 연구들을 풍부한 예화로 전달하며 재미와 정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 책벌레 세바스찬 베드나렉(SEBASTIAN BEDNAREK)

    책벌레 세바스찬 베드나렉(SEBASTIAN BEDNAREK)

    조회수 : 13099

    가업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톰 레이드(Tom Reid) 서점은 1984년에 설립되었다. 이곳은 전통적인 독서 방식을 추구하고 소비자에게 종이책의 힘을 상기시키고자 분투하는 독립적인 서점이다.

  • 사이키델릭한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 에드워드 카발로 모나한(EDWARD CARVALHO MONAGHAN),

    사이키델릭한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 에드워드 카발로 모나한(EDWARD CARVALHO MONAGHAN),

    조회수 : 14303

    지난 6개월 사이, 네온 타입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고맙게도 우리에겐 3D 아티스트 토마스 버던(Thomas Burden)이 있어 함께 책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보기엔 토마스 같은 CG 아티스트들 덕분에 아트 디렉터들이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 타이포그래피 아닌 게 없는 세상, 그래픽 디자이너 보리스 코한

    타이포그래피 아닌 게 없는 세상, 그래픽 디자이너 보리스 코한

    조회수 : 13602

    독일 뮌헨 타이포그래피 협회장으로서, 그리고 자신이 운영하는 브랜딩 회사 kochan & partner의 대표로서, 마지막으로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누구보다 바쁘게 사는 보리스 코한(boris kochan)을 만났다.

  • 정글 속으로 크리스 호프만(KRIS HOFMANN)

    정글 속으로 크리스 호프만(KRIS HOFMANN)

    조회수 : 13902

    1950년대 이후로 영국에 서식하는 고슴도치의 수가 3천만에서 1백만 마리로 줄었다. “우리는 와일드라이프 에이드가 고슴도치를 원래 서식지로 돌려보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감독 크리스 호프만이 설명한다.

  • 	느낌의 공동체, 네이버 송호성 수석디자이너 크리에이터

    느낌의 공동체, 네이버 송호성 수석디자이너 크리에이터

    조회수 : 13895

    논리적으로 설득하지 않아도 무언가를 공유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 \'네이버\'라는 느낌을 만드는 사람, 송호성 네이버 수석디자이너를 만났다.

  • 두 남자가 폰트를 만드는 방법, 뮤어맥닐 스튜디오 리뷰

    두 남자가 폰트를 만드는 방법, 뮤어맥닐 스튜디오 리뷰

    조회수 : 14245

    폰트를 만드는 두 명의 영국 디자이너, 해미쉬 뮤어(hamish muir)와 폴 맥닐(paul mcneil). 이들은 2010년부터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뮤어맥닐(muirmcneil)\' 스튜디오를 함께 경영하며, 파라메트릭(parametric)1)이라는 디자인 시스템에 의한 탐험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 여행의 우아한 동반자 노이에 디자인 스튜디오(NEUE DESIGN STUDIO)

    여행의 우아한 동반자 노이에 디자인 스튜디오(NEUE DESIGN STUDIO)

    조회수 : 15054

    오슬로에 위치한 디자인 스튜디오 노이에가 경합 끝에 노르웨이 여권 디자인의 우승을 차지했다. ‘노르웨이의 풍경’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이 여권은 기능면에서도 훌륭하지만 미적으로도 아름다워서 진정한 디자인 명품의 자격이 있다.

  • 라마랑 캐스트 아이언 디자인(CAST IRON DESIGN)

    라마랑 캐스트 아이언 디자인(CAST IRON DESIGN)

    조회수 : 14451

    콜로라도에 위치한 스튜디오 캐스트 아이언을 함께 설립한 조나단 블랙(Jonathan Black)과 리처드 로체(Richard Roche)에 따르면, 그들은 역사적 인물 체 게바라의 이미지와 거리를 두려고 일부러 ‘재치 있고, 밝으며 우스꽝스럽고 재미있는’ 아이덴티티를 만들기로 했다.

  • 50~60년대 영화 오프닝 시퀀스의 혁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바스 솔 바스

    50~60년대 영화 오프닝 시퀀스의 혁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바스 솔 바스

    조회수 : 15198

    솔 바스라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스타일을 대표하는 표징이 되었다는 데에 이견을 달 이들은 없을 것이다. 영화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선구자이자, 오스카 트로피까지 거머쥔 바 있는 진짜 할리우드 스타, 그래픽디자이너 솔 바스에 대해 알아보자.

대표번호 : 02.722.2111

  • 주소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5-4 만이빌딩 5층, 10층
  • 대표자 : 김상곤
  • 사업자등록번호 214-86-26812
  • 통신판매업신고 강남13717호
  • 학원등록번호 : 강남 제 1101호
  • 홈페이지 관리자 : 홍길동
  • COPYRIGHT ⓒ GITACADEM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