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웹&콘텐츠개발) 프론트엔드 개발자(자바스크립트,리액트) 실무 프로젝트
프레임워크 & AI 활용 자바 기반 풀스택 멀티플랫폼 웹서비스 개발과정
(산대특)_인공지능 데이터분석 및 예측을 활용한 웹서비스 개발과정_양성_지원
심화_클라우드 기반 MSA 적용 ERP 시스템 웹서비스 구현 프로젝트
프로젝트기반 자바(스프링,백엔드)&파이썬(OCR) 풀스택 웹 개발자 양성과정
프로젝트기반 프론트엔드 (React,Vue) 웹&앱 SW개발자 양성과정
챗GPT-랭체인으로 AI 웹서비스 만들기
리액트(React)와 파이어베이스 (Firebase)로 시작하는 웹 개발 과정
Open API를 활용한 인터렉티브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with Vanilla Javascript
파이썬(python)과 빅데이터 분석 향상과정 (시각화, 판다스)
[UIUX] 풀스택(프론트&백앤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바닐라.JS/Javascript)
[UIUX] 풀스택(프론트엔드&백엔드]리액트(React JS) 자바스크립트
C언어
파이썬(Python)) -응용SW 엔지니어링
자바(Java)
한 남자와 그의 목탄 / PROJECT 시크릿 7” 커버 아트웍
시크릿 7은 7명의 뮤지션이 만드는 곡에 맞는 각각의 자켓 디자인을 하는데 그 디자인을 예술가, 디자이너, 포토그래퍼들에게 맡긴다. 올해는 퍼블릭 에너미(Public Enemy), 엘튼 존(Elton John), 나스(Nas), 제시 웨어(Jessi Ware), 하임(Haim), 로라 말링(Laura Marling) 그리고 닉 그레이크(Nick Drake), 총 7명의 뮤지션이 참여했다. 그리고 이들의 음악에 맞춘 700개의 작품들을 자켓으로 만들었다. 그 디자인들은 4월 13일과 14일에 이스트 런던에서, 20일에는 ‘레코드 스토어 데이’에서 전시되며 판매도 한다.
버스 종점에서 내려 약도에 나온 설명대로 골목으로 접어들자 한눈에 그의 작업실을 알아볼 수 있었다. 담장 없는 집, 오른쪽엔 정갈한 채마밭. 줄을 맞춰 자란 상추와 치커리의 초록 잎이 싱싱하다. 담 옆 여기저기 놓여 있는 재활용품들의 쓰임새가 궁금해진다. 주인을 기다리는 동안 닫힌 문을 바라본다. 평소엔 문을 활짝 열어두고 오가는 누구라도 들어올 수 있게 한다고 했던가. 저 문 안에서 그는 평소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작업을 할까?
어둠과 디테일에 집착하는 아티스트 / TEN콜렉션 6월의 아티스트, 알렉산더 오토
1988년생의 젊은 나이이지만, 그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그가 이제 갓 24살의 디자이너라고는 쉽게 믿기 힘들다. 일러스트, 아트 디렉션, 3D, 인터액티브 디자인, 유저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함은 물론이고, 강렬함과 세련됨이 공존하면 보여주는 작품의 완성도가 수준급이기 때문이다.
독립출판물의 과거와 미래를 담다 / 제4회 KT&G 상상마당 어바웃북스
국내외 독립출판물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제4회 KT&G 상상마당 어바웃북스\'가 오는 6월 13일부터 상상마당 갤러리와 스튜디오에서 열린다. 올해에는 90년대 문화지들의 만날 수 있는 \'오늘 꺼내 본, 어제의 잡지\'와 일본 독립 출판물 전시인 \'마운트 진 인 어바웃북스\'등을 통해 독립출판물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미스터 몬스터 / 디자이너 3HDL(양재민)의 포트폴리오
디자이너 3HDL(양재민)의 포트폴리오
암스테르담 신포니에타의 포스터 / 스튜디오 둠바의 암스테르담 신포니에타 프로젝트
2005년부터 암스테르담 신포니에타(SINFONIETTA)는 스튜디오 둠바와 그곳의 디자이너들에게 특별한 클라이언트로 자리잡았다. 처음에 스튜디오는 신포니에타의 아이덴티티를 개발했다. 진하고 선명한 로고타입과 일련의 기본적인 타입 변형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스튜디오는 또한 신포니에타가 주최하는 공연들의 홍보 포스터도 제작했다.
21세기 디자인 지식재산권 전쟁 실전 참고서 / <디자인 전쟁>
디즈니는 미키마우스 캐릭터로만 연간 무려 6조 원 매출(\'08년, 월트디즈니 연매출액 34조 원의 약 17%)을 올렸다. 또한, 애플은 만만해 보이는 디자인 몇 가지로 미국 법정에서 벌인 삼성전자와의 소송 1심에서 1조 2천억 원 배상 판결을 얻어냈다.
국립현대미술관, MMCA / 국립현대미술관 통합 MI 발표
국립현대미술관이 과천관, 덕수궁관과 함께 올해 개관 예정인 서울관, 2015년 완공 예정인 청주관 등의 공간을 하나의 정체성으로 표현한 새로운 MI(Museum Identity)를 발표했다. 이는 네 개의 공간으로 나뉜 국립현대미술관의 브랜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일환이다.
한글로 피어난 \'거시기, 머시기\' / 2013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포스터 및 로고 디자인
오는 9월 6일 개막하는 2013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포스터 및 로고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거시기, 머시기(anything,something)\'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601비상이 기본 eip(event identity program)를 맡았다.
콘텐츠를 정제하는 디자인 / 제너럴그래픽스 편집 디자이너 정승현
정갈하다. 디자이너 정승현의 작업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바로 이 말이 가장 잘 어울리지 않을까. 디자인 스튜디오 제너럴그래픽스에서 편집 디자인을 하는 그. 그의 작업에서는 화려한 치장보다는 깔끔하게 정돈된 이미지와 텍스트를 볼 수 있다.